[학위논문]가정환경이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 및 내적 감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ome environment on ego-identity formation and internal emotion of teenager원문보기
최은희(총신대학교 대학원기독교교육학과 기독교교육전공국내석사)
초록▼
AI-Helper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일반적인 배경이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과 내적 감정, 가정환경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가정환경과 자아정체감의 상관관계, 가정환경과 내적 감정의 상관관계, 자아정체감과 내적 감정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한 연구이다. 혼란과 갈등의 시기인 청소년기는 성인으로 성장해 가기 위해 극복해야 할 많은 발달 과제들과 사회 문화적 압력들로 인해 위기를 경험하게 된다. 또한 정체성 위기의 시기에 있는 청소년들은 자신들에게 일어나는 급격한 신체적, 심리적 변화를 수용하고, 자아정체감 확립을 위한 내적 물음에 대한 해답을 찾아야 한다. 발달 과정상 더 이상은 전적으로 부모의 보호 아래 있지 않는 청소년들에겐 아직 특별히 가정 안에서의 따뜻한 돌봄(...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일반적인 배경이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과 내적 감정, 가정환경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가정환경과 자아정체감의 상관관계, 가정환경과 내적 감정의 상관관계, 자아정체감과 내적 감정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한 연구이다. 혼란과 갈등의 시기인 청소년기는 성인으로 성장해 가기 위해 극복해야 할 많은 발달 과제들과 사회 문화적 압력들로 인해 위기를 경험하게 된다. 또한 정체성 위기의 시기에 있는 청소년들은 자신들에게 일어나는 급격한 신체적, 심리적 변화를 수용하고, 자아정체감 확립을 위한 내적 물음에 대한 해답을 찾아야 한다. 발달 과정상 더 이상은 전적으로 부모의 보호 아래 있지 않는 청소년들에겐 아직 특별히 가정 안에서의 따뜻한 돌봄(정서적 지지)과 이들이 치러야 할 성장과정에서의 갈등과 혼란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그러나 바로 이러한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가정이 현대 사회의 변화로 인해 그 기능을 점점 잃어 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청소년의 자아 정체감과 내적 감정에 미치는 여러 요인 가운데 특히 청소년에게 가장 결정적인 영향력을 갖고 있는 가정환경이 미치는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부모가 청소년을 이해하고 지도하는데 도움을 주어 청소년의 바람직한 자아정체감과 내적 감정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질문은 첫째, 일반적 배경(교회 출석, 기도생활, 말씀생활, Q. T.생활, 학교성적)은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내적 감정 및 가정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청소년의 가정 환경과 그들의 자아정체감의 상관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청소년의 가정 환경과 그들의 내적 감정의 상관 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청소년의 자아 정체감은 그들의 내적 감정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등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지역 교회의 고등학생 9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3개의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자아정체감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Dignan의 자아정체감 측정도를 서봉연(1975)이 번안, 수정하여 만든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내적 감정을 측정하는 검사지는 Beck이 개발하고 이영호(1993)가 번안한 우울증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를 사용하였다. 가정환경을 측정하는 검사로는 심응철(1992)이 개발한 심리적 성장 환경에 관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배경은 청소년의 자아 정체감과 내적 감정 및 가정 환경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청소년의 기도생활이 높을수록 자아정체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교회 출석, 기도 생활, 말씀 생활, Q. T. 생활이 내적 감정에 미치는 영향이 높았는데, 그 중 말씀 생활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회 출석, 기도 생활, 말씀 생활, Q. T. 생활, 학교 성적이 가정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청소년의 가정 환경은 그들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의견을 잘 받아 주는 가정, 사랑이 있는 가정, 그리고 말다툼을 하지 않는 가정일수록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이 높게 나왔다. 이는 가정환경이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겠다. 셋째, 청소년의 가정 환경은 그들의 내적 감정과 유의한 차이가 있다. 개인의 일에만 열심인 가정, 말다툼을 하는 가정 그리고 관심이 적은 가정일수록 청소년이 내적 감정의 위기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모님이 의견을 잘 받아 주는 가정, 사랑이 있는 가정 그리고 부모님이 자녀를 믿는 가정일수록 내적 감정이 건강한 것으로 나왔다. 무엇보다도 말다툼의 경향이 청소년의 내적 감정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정환경과 내적 감정의 관계가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은 그들의 내적 감정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그들의 내적 감정은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부모가 자녀를 사랑과 관심과 믿음으로 대하고 그들을 인정하고, 가족이 서로 인정해 주며 가족 전체 일에 관심을 가질 때 청소년들이 바람직한 자아정체감을 형성하고 내적 감정의 위기를 겪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이를 위해 가정은 청소년에 대한 바른 이해와 관심을 가지고 사랑으로 대하여 그들이 한 인격체로서 성장하여 하나님 안에서 꿈을 갖고 하나님 자녀답게 살아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에 이르도록 돕는 역할을 감당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일반적인 배경이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과 내적 감정, 가정환경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가정환경과 자아정체감의 상관관계, 가정환경과 내적 감정의 상관관계, 자아정체감과 내적 감정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한 연구이다. 혼란과 갈등의 시기인 청소년기는 성인으로 성장해 가기 위해 극복해야 할 많은 발달 과제들과 사회 문화적 압력들로 인해 위기를 경험하게 된다. 또한 정체성 위기의 시기에 있는 청소년들은 자신들에게 일어나는 급격한 신체적, 심리적 변화를 수용하고, 자아정체감 확립을 위한 내적 물음에 대한 해답을 찾아야 한다. 발달 과정상 더 이상은 전적으로 부모의 보호 아래 있지 않는 청소년들에겐 아직 특별히 가정 안에서의 따뜻한 돌봄(정서적 지지)과 이들이 치러야 할 성장과정에서의 갈등과 혼란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그러나 바로 이러한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가정이 현대 사회의 변화로 인해 그 기능을 점점 잃어 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청소년의 자아 정체감과 내적 감정에 미치는 여러 요인 가운데 특히 청소년에게 가장 결정적인 영향력을 갖고 있는 가정환경이 미치는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부모가 청소년을 이해하고 지도하는데 도움을 주어 청소년의 바람직한 자아정체감과 내적 감정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질문은 첫째, 일반적 배경(교회 출석, 기도생활, 말씀생활, Q. T.생활, 학교성적)은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내적 감정 및 가정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청소년의 가정 환경과 그들의 자아정체감의 상관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청소년의 가정 환경과 그들의 내적 감정의 상관 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청소년의 자아 정체감은 그들의 내적 감정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등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지역 교회의 고등학생 9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3개의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자아정체감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Dignan의 자아정체감 측정도를 서봉연(1975)이 번안, 수정하여 만든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내적 감정을 측정하는 검사지는 Beck이 개발하고 이영호(1993)가 번안한 우울증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를 사용하였다. 가정환경을 측정하는 검사로는 심응철(1992)이 개발한 심리적 성장 환경에 관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배경은 청소년의 자아 정체감과 내적 감정 및 가정 환경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청소년의 기도생활이 높을수록 자아정체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교회 출석, 기도 생활, 말씀 생활, Q. T. 생활이 내적 감정에 미치는 영향이 높았는데, 그 중 말씀 생활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회 출석, 기도 생활, 말씀 생활, Q. T. 생활, 학교 성적이 가정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청소년의 가정 환경은 그들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의견을 잘 받아 주는 가정, 사랑이 있는 가정, 그리고 말다툼을 하지 않는 가정일수록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이 높게 나왔다. 이는 가정환경이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겠다. 셋째, 청소년의 가정 환경은 그들의 내적 감정과 유의한 차이가 있다. 개인의 일에만 열심인 가정, 말다툼을 하는 가정 그리고 관심이 적은 가정일수록 청소년이 내적 감정의 위기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모님이 의견을 잘 받아 주는 가정, 사랑이 있는 가정 그리고 부모님이 자녀를 믿는 가정일수록 내적 감정이 건강한 것으로 나왔다. 무엇보다도 말다툼의 경향이 청소년의 내적 감정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정환경과 내적 감정의 관계가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은 그들의 내적 감정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그들의 내적 감정은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부모가 자녀를 사랑과 관심과 믿음으로 대하고 그들을 인정하고, 가족이 서로 인정해 주며 가족 전체 일에 관심을 가질 때 청소년들이 바람직한 자아정체감을 형성하고 내적 감정의 위기를 겪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이를 위해 가정은 청소년에 대한 바른 이해와 관심을 가지고 사랑으로 대하여 그들이 한 인격체로서 성장하여 하나님 안에서 꿈을 갖고 하나님 자녀답게 살아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에 이르도록 돕는 역할을 감당해야 할 것이다.
Abstract▼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enager's general background on ego-identity formation and internal emotion, correlation of home environment and ego-identity, correlation of home environment and internal emotion and correlation of ego-identity and internal emotion. Ado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enager's general background on ego-identity formation and internal emotion, correlation of home environment and ego-identity, correlation of home environment and internal emotion and correlation of ego-identity and internal emotion. Adolescents who are confused and experience conflict with others, experience crisis because of the many development subjects which must overcome, and the social cultural pressures to grow into an adult. Also, teenagers in the time of an ego-identity crisis, must accept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nges which occur to oneself suddenly and must find the answer of inner question for establishing ego-identity.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teenagers who are no longer entirely in the parents' protection still need warm care(emotional support) especially inside the family. They also need deep understanding for conflict and confusion in the growth process. However, it is actually family who have to discharge such losses, little by little, because of the change of current society.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xplored in this study. First, does general background give an effect on ego-identity, internal emotion and home environment of teenagers? Secondly, how is the home environment and ego-identity of teenagers correlated? Thirdly, how is the home environment and internal emotions of teenagers correlated? And finally, what effects does the ego-identity of a teenager have on their internal emo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9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 church in the Seoul area. The measurement instrument of ego-identity was Dignan's ego-identity Scale, which was translated and modified by Seo Bong-yeon(1975). This measurement instrument was a component Factor Scale of ego-identity consisted of eight subscales. For measuring internal emotion, Beck Depression Inventory developed by Beck(1967) and translated by Lee Young-ho(1993) was used. For measuring home environment, a questionnaire for psychological growth environment developed by Sim Eung-chul(1992) was used.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general background and ego-identity, internal emotion and home environment has been found. The data indicated a high prayer teenager has a high ego-identity. It also indicated attending church, prayer, reading Bible and Quiet Time have the high effect on internal emotion, specially reading Bible. And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attending church, prayer, reading Bible, Quiet Time and school results and home environment. Secondly, significant correlation of home environment and ego-identity has been found. Accepting children's opinion within the family, children in a loving family and children with no arguments within the family environment all indicated high ego-identity. That means the home environment effects the ego-identity formation of a teenager. Thirdly, significant correlation of home environment and internal emotion has been found. Having no cohesion within the family, having arguments within the family and being less concerned with the family in general, indicated a danger in the internal emotions of a teenager. Families who accept children's opinions well, and love and believe in their children indicated safety in the internal emotions of a teenager. In particular, having an argument within the family environment showed a lot of effects on the internal emotion of a teenager. That means the home environment does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rnal emotion of a teenager. Lastly, there i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go-identity and the internal emotion of teenagers. That means the formating of ego-identity does not involve something in particular which effects internal emotions of teenag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eenagers achieve ego-identity desirably and they do not experience a crisis of internal emotion, when their parents love them, are concerned with them, believe in them, recognize them and are concerned with the whole family's issues. Because of this, families must understand adolescents correctly. They must be concerned with them and love them. Therefore, parents must help their teenagers develop character, help them have dreams and believe in God and live as God's Children so attaining to the whole measure of the fullness of Chris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enager's general background on ego-identity formation and internal emotion, correlation of home environment and ego-identity, correlation of home environment and internal emotion and correlation of ego-identity and internal emotion. Adolescents who are confused and experience conflict with others, experience crisis because of the many development subjects which must overcome, and the social cultural pressures to grow into an adult. Also, teenagers in the time of an ego-identity crisis, must accept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nges which occur to oneself suddenly and must find the answer of inner question for establishing ego-identity.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teenagers who are no longer entirely in the parents' protection still need warm care(emotional support) especially inside the family. They also need deep understanding for conflict and confusion in the growth process. However, it is actually family who have to discharge such losses, little by little, because of the change of current society.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xplored in this study. First, does general background give an effect on ego-identity, internal emotion and home environment of teenagers? Secondly, how is the home environment and ego-identity of teenagers correlated? Thirdly, how is the home environment and internal emotions of teenagers correlated? And finally, what effects does the ego-identity of a teenager have on their internal emo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9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 church in the Seoul area. The measurement instrument of ego-identity was Dignan's ego-identity Scale, which was translated and modified by Seo Bong-yeon(1975). This measurement instrument was a component Factor Scale of ego-identity consisted of eight subscales. For measuring internal emotion, Beck Depression Inventory developed by Beck(1967) and translated by Lee Young-ho(1993) was used. For measuring home environment, a questionnaire for psychological growth environment developed by Sim Eung-chul(1992) was used.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general background and ego-identity, internal emotion and home environment has been found. The data indicated a high prayer teenager has a high ego-identity. It also indicated attending church, prayer, reading Bible and Quiet Time have the high effect on internal emotion, specially reading Bible. And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attending church, prayer, reading Bible, Quiet Time and school results and home environment. Secondly, significant correlation of home environment and ego-identity has been found. Accepting children's opinion within the family, children in a loving family and children with no arguments within the family environment all indicated high ego-identity. That means the home environment effects the ego-identity formation of a teenager. Thirdly, significant correlation of home environment and internal emotion has been found. Having no cohesion within the family, having arguments within the family and being less concerned with the family in general, indicated a danger in the internal emotions of a teenager. Families who accept children's opinions well, and love and believe in their children indicated safety in the internal emotions of a teenager. In particular, having an argument within the family environment showed a lot of effects on the internal emotion of a teenager. That means the home environment does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rnal emotion of a teenager. Lastly, there i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go-identity and the internal emotion of teenagers. That means the formating of ego-identity does not involve something in particular which effects internal emotions of teenag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eenagers achieve ego-identity desirably and they do not experience a crisis of internal emotion, when their parents love them, are concerned with them, believe in them, recognize them and are concerned with the whole family's issues. Because of this, families must understand adolescents correctly. They must be concerned with them and love them. Therefore, parents must help their teenagers develop character, help them have dreams and believe in God and live as God's Children so attaining to the whole measure of the fullness of Christ.
Keyword
#가정환경 청소년 자아정체감
학위논문 정보
저자 | 최은희 |
---|---|
학위수여기관 | 총신대학교 대학원 |
학위구분 | 국내석사 |
학과 | 기독교교육학과 기독교교육전공 |
발행연도 | 2003 |
총페이지 | 83p. |
키워드 | 가정환경 청소년 자아정체감 |
언어 | kor |
원문 URL | |
정보원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