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가정환경이 아동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Family Environment on Children's Self-Concept원문보기
정정임(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유아교육전공(교원)국내석사)
초록▼
AI-Helper
본 연구는 가정환경 변인 중 부모의 양육행동과 가정환경 위험요인이 아동의 자아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라 부모의 양육행동과 가정환경 위험요인에 따라 아동의 자아개념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그리고 가정의 양육행동이 가정환경 위험요인과 아동의 자아개념 간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을 것인가? 라는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이를 확인하였다.본 연구 대상은 초등학생 220명이며, 이들에게 자아개념 검사와 가정환경 검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
본 연구는 가정환경 변인 중 부모의 양육행동과 가정환경 위험요인이 아동의 자아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라 부모의 양육행동과 가정환경 위험요인에 따라 아동의 자아개념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그리고 가정의 양육행동이 가정환경 위험요인과 아동의 자아개념 간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을 것인가? 라는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이를 확인하였다.본 연구 대상은 초등학생 220명이며, 이들에게 자아개념 검사와 가정환경 검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부모 양육행동과 가정의 위험요인에 따라 아동의 자아개념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ANOVA)를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부모양육행동, 가정환경 위험요인과 아동의 자아개념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부모의 양육행동에 따라 아동의 자아개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p<.01). 즉 신체능력, 신체외모, 친구, 부모, 언어, 수학, 일반교과, 일반자아, 총 자아에서 긍정적인 양육행동수준을 지닌 부모의 자녀들은 부정적인 행동을 지닌 부모의 자녀들에 비해 자아개념이 의미 있게 더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둘째, 가정환경의 위험요인 수준에 따라 아동의 자아개념에는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p<.05). 즉 가정의 위험요인에 노출된 아동은 자아개념이 그렇지 않은 아동에 비해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아동의 자아개념의 모든 하위 요인과 부모의 양육행동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01). 그러나 가정환경 부적요인과 아동의 자아개념 간에는 부적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p<.01). 또한 부모의 양육행동과 가정환경위험요인 간에는 부적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p<.01).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서 나타난 결론은 다음과 같다.첫째, 부모의 양육행동이 긍정적일수록 아동의 자아개념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둘째, 가정의 위험요인 증가할수록 아동의 자아개념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부모의 양육 행동과 가정의 심리적 변인이 아동의 자아개념을 발달시키는데 중요하게 적용한다는 점이 본 연구에서 확인된 중요한 결과이다.
본 연구는 가정환경 변인 중 부모의 양육행동과 가정환경 위험요인이 아동의 자아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라 부모의 양육행동과 가정환경 위험요인에 따라 아동의 자아개념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그리고 가정의 양육행동이 가정환경 위험요인과 아동의 자아개념 간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을 것인가? 라는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이를 확인하였다.본 연구 대상은 초등학생 220명이며, 이들에게 자아개념 검사와 가정환경 검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부모 양육행동과 가정의 위험요인에 따라 아동의 자아개념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ANOVA)를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부모양육행동, 가정환경 위험요인과 아동의 자아개념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부모의 양육행동에 따라 아동의 자아개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p<.01). 즉 신체능력, 신체외모, 친구, 부모, 언어, 수학, 일반교과, 일반자아, 총 자아에서 긍정적인 양육행동수준을 지닌 부모의 자녀들은 부정적인 행동을 지닌 부모의 자녀들에 비해 자아개념이 의미 있게 더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둘째, 가정환경의 위험요인 수준에 따라 아동의 자아개념에는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p<.05). 즉 가정의 위험요인에 노출된 아동은 자아개념이 그렇지 않은 아동에 비해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아동의 자아개념의 모든 하위 요인과 부모의 양육행동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01). 그러나 가정환경 부적요인과 아동의 자아개념 간에는 부적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p<.01). 또한 부모의 양육행동과 가정환경위험요인 간에는 부적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p<.01).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서 나타난 결론은 다음과 같다.첫째, 부모의 양육행동이 긍정적일수록 아동의 자아개념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둘째, 가정의 위험요인 증가할수록 아동의 자아개념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부모의 양육 행동과 가정의 심리적 변인이 아동의 자아개념을 발달시키는데 중요하게 적용한다는 점이 본 연구에서 확인된 중요한 결과이다.
Abstract▼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parents' rearing behavior and the risk factor of family environment, among family environment variables, on children's self-concept. For this purpose I established three themes as followings.Is there difference in children's self-concept a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parents' rearing behavior and the risk factor of family environment, among family environment variables, on children's self-concept. For this purpose I established three themes as followings.Is there difference in children's self-concept according to the parents' rearing behavior?Is there difference in children's self-concept according to the risk factor of family environment?Is there correlation among parents' rearing behavior, the risk factor of family environment, and children's self-concept?As the subjects I chose 220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n conducted self-concept test and family environment test. The collected data was analysed by SPSS WIN 12.0 program. And I used one-way ANOVA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children's self-concept according to their parents' rearing behavior and the risk factor of family. To verify the correlation among parents' rearing behavior, the risk factor of family environment, and children's self-concept, I calculate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The summary of the result is as followings.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self-concept according to parents' rearing behavior(p<.01). That is to say, the children of parents who had positive rearing behavior level in physical ability, appearance, friends, parents, language, mathematics, general subjects, and the whole-self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elf-concept than those of parents with negative behavior.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self-concept according to the risk factor level of family environment(p<.05). That is to say, The children exposed to the risk factor of family showed negative self-concept than others.Third,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ll the sub-factors of children's self-concept and parents' rearing behavior(p<.01). But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negative factor of family environment and children's self-concept(p<.01). And also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s' rearing behavior and the risk factor of family environment(p<.01).The conclusion produced by the results is as following.First, the more parents have positive rearing behavior, the more their children get high self-concept.Second, the more the risk factor of family increases, the less children get positive self-concept.The important thing confirmed by this study is that parents' rearing behavior and psychological factor of family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children's self-concep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parents' rearing behavior and the risk factor of family environment, among family environment variables, on children's self-concept. For this purpose I established three themes as followings.Is there difference in children's self-concept according to the parents' rearing behavior?Is there difference in children's self-concept according to the risk factor of family environment?Is there correlation among parents' rearing behavior, the risk factor of family environment, and children's self-concept?As the subjects I chose 220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n conducted self-concept test and family environment test. The collected data was analysed by SPSS WIN 12.0 program. And I used one-way ANOVA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children's self-concept according to their parents' rearing behavior and the risk factor of family. To verify the correlation among parents' rearing behavior, the risk factor of family environment, and children's self-concept, I calculate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The summary of the result is as followings.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self-concept according to parents' rearing behavior(p<.01). That is to say, the children of parents who had positive rearing behavior level in physical ability, appearance, friends, parents, language, mathematics, general subjects, and the whole-self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elf-concept than those of parents with negative behavior.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self-concept according to the risk factor level of family environment(p<.05). That is to say, The children exposed to the risk factor of family showed negative self-concept than others.Third,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ll the sub-factors of children's self-concept and parents' rearing behavior(p<.01). But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negative factor of family environment and children's self-concept(p<.01). And also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s' rearing behavior and the risk factor of family environment(p<.01).The conclusion produced by the results is as following.First, the more parents have positive rearing behavior, the more their children get high self-concept.Second, the more the risk factor of family increases, the less children get positive self-concept.The important thing confirmed by this study is that parents' rearing behavior and psychological factor of family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children's self-concept.
Keyword
#자아개념#가정환경
학위논문 정보
저자 | 정정임 |
---|---|
학위수여기관 |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
학위구분 | 국내석사 |
학과 | 유아교육전공(교원) |
발행연도 | 2009 |
총페이지 | Ⅷ, 54 p. |
키워드 | 자아개념, 가정환경 |
언어 | kor |
원문 URL | |
정보원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